김윤환(시인, 문학박사)

사람이 부정적인 마음만으로도 실패와 파멸에 이를 수 있다면 반대로 긍정적인 마음은 사람의 정신적, 정서적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미국 사회심리학자 도널드 클리프턴과 그 연구원의 설문조사와 그 연구분석 결과는 매우 흥미롭고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의 조사대상자 설문응답의 90%가 주위에 긍정적인 사람이 있을 때 생산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람들이 직장을 그만두는 첫 번째 이유도 회사에서 자신이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불행히도 최근 설문조사에 의하면 직장인의 65%이상이 자신은 직장에서 어떤 인정도 받지 못하고 있고 이러한 직장 이탈로 인한 소모비용이 GDP의 10%에 해당되는 엄청난 규모라는 보도도 있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온 이론이 바로 도널드 클리프턴의 “물통과 국자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은 모두 보이지 않는 물통을 하나씩 가지고 있는데, 그 물통이 흘러넘칠 때 가장 행복하며 물통이 비어 있을 때 가장 불행하다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은 보이지 않은 국자도 하나씩 가지고 있는데,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람들은 국자로 타인의 물통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득 채우거나 퍼낼 수 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바로 타인의 물통을 채울 때, 우리 자신의 물통도 채워진다는 것이다. 어떻게 타인의 물통을 채울 때 자신의 물통도 채울 수 있는가 살펴보자

자신과 다른 사람의 삶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늘리기 위해 물통을 채우는 방법으로 클리프턴은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물통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라.

저축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빚을 청산해야 하는 것처럼, 진정으로 물통 채우기를 시작하려면 먼저 물통을 막아야 한다. 먼저 다른 사람과 교류할 때, 자신이 다른 사람의 물통을 채우고 있는지 아니면 퍼내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한 후, 물통을 퍼내는 습관을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좋은 면을 더 많이 부각시켜라

일상 중에 맺고 있는 모든 상호작용은 우리에게 좋은 면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물통을 채울 수 있다. 물통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았다면, 다음으로는 좋은 면을 부각시키는 법을 배워야 한다.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를 만들어라

자신과 절친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한번 떠올려 보자. 아마 대부분은 여러 번 긍정적인 대화가 오갔을 것이다. 나눈 이야기가 부정적이었던 사람과 좋은 친구가 될 확률은 낮다. 인간관계의 폭이 넓든 좁든 간에, 절친한 친구를 만들려고 노력할수록, 우리의 물통은 점점 채워질 것이다.

예상하지 않았을 때 선물을 주라

조사에 의하면 사람들은 대부분 예상치 못한 선물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예측이 가능한 선물도 그들의 물통을 채워주지만, 예상치 못한 선물이 그 물통을 좀 더 많이 채워준다. 그렇다고 예상치 못한 선물은 반드시 대단한 것이거나 물질적인 것일 필요도 없다. 신뢰나 책임도 선물이 될 수 있다.

황금률을 뒤집어라

확실하고 의미 있는 물통 채우기를 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물통 채우기를 할 때는 자기중심적 보상이 아니라, 타인중심적인 보상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물통과 국자이론은 일상 속에서 우리가 맺고 있는 서로간의 작은 상호작용이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잘 보여주고 있으며, 공동체를 이끄는 리더로서 생각해 볼 문제가 아닐 수 없다.

■Leadership TIP■ 낙관과 희망

비전은 낙관과 희망을 포함한다. 비관주의자가 위대한 지도자가 된 적은 없었다.

비관주의자는 주어진 모든 기회를 어렵게만 바라본다.

그러나 낙관주의자는 모든 어려움들을 기회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비관주의자들은 항상 가능성에 앞서 어려움들을 바라보며, 앞으로 전진하기를 열망하는 비전을 가진 사람을 만류하는 경향이 있다.

주의깊은 사람은 낙관적인 지도자를 도와 그가 실제적으로 일을 처리해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그의 선천적이고 뿌리깊은 신중함이 하나님께서 높이 날도록 의도하신 사람의 날개들을 자르지 않도록 지켜보아야 한다.

어려움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너무 분명하게 자기 가능성을 분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기를 따르는 자들에게 감회를 줄 수가 없다. 비전은 위험을 무릅쓸 수 있게 해주며, 역사는 위험을 무릅쓰는 믿음의 편에 선다. 비전을 소유한 자는 외관상으로 공허한 느낌이 들 때에도 기꺼이 믿음의 신선한 발걸음을 옮기는 사람을 가리킨다.

지나간 과거가 가치 있고 그것으로 인하여 유익을 얻게 된다고 해도, 우리는 과거를 너무 중시한 나머지 과거를 위해서 미래를 희생해서는 안된다. 비전을 가진 사람은 급변하는 정책에 대한 그의 확신 안에서 미래를 바라본다. - J.O.샌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