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환(시인, 문학박사)

국가 공공기관은 물론 기업이나 민간종교단체 등 어느 조직이건 업무능력이 뛰어난 능력 있는 구성원을 요직에 앉히고 싶어한다. 또 필요에 따라 특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들을 별도로 배치되기도 한다. 모든 분야에 배치되는 구성원의 업무능력에는 반드시 신뢰가 담보되어야 한다. 신뢰성은 그 조직의 성장을 꾀하고 최고 지도자의 리더십에 직접적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나 기업이나 소위 핵심 스텝의 규모를 축소하면서 조직내 리더와 리더, 리더와 구성원간의 신뢰의 문제는 모든 공동체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신뢰란 말로는 매우 따뜻하고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지만 실제로 믿음을 확신하기 까지는 그리 쉽지 않다. 공동체에서 리더가 갖는 신뢰의 의미와 요건은 무엇인가?

신뢰는 맹목적이 아니다

모르는 사람을 믿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대규모 조직들도 이제는 다른 그룹의 사람들과 더불어 능률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친밀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소그룹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신뢰는 경계선을 필요로 한다

무제한적인 신용은 실제로는 비현실적이다. 조직에서의 신뢰란 확신을 의미한다. 누군가의 능력에 대한, 그리고 목표를 위한 임무에 대한 확신이다. 사역을 담당하는 그룹들에게는 해결책과 방법을 마련할 수 있는 충분한 자유가 주어져야 한다. 동시에 공동체의 사명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지켜주는 적절한 제한이 필요하다.

신뢰는 끊임없는 학습을 필요로 한다

개개인과 마찬가지로 공동체는 계속해서 배워야 한다. 공동체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언제나 변화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성공과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선택과 기술을 탐구하면서 진정한 학습 문화를 창조해야 한다.

신뢰는 잔인하다

개인에게 높은 표준과 헌신을 요구하는 냉혹한 신뢰를 옹호한다. 신뢰는 유리와 같아서 한번 깨지면 다시 붙일 수 없다. 대부분은 자신에게서 최선을 이끌어내기 위해 마감시간과 목표를 정한다. 그러나 규칙과 확인이 주도하는 곳에서는 그럭저럭 요구된 수준을 유지할 정도로만 행동하게 된다.

신뢰는 결속을 필요로 한다

신뢰는 관계를 바탕으로 한다. 신뢰는 비인간적인 것이 아니다. 지도자들은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다른 사람들과 충분한 시간을 나눌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신뢰는 손길을 필요로 한다

첨단기술, 전자메일, 전화와 팩스, 음성 사서함이 일상생활이 된 오늘날에도 극대화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만남을 필요로 한다. 여기에는 일과 놀이가 적당히 섞여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은 소수의 특권층에게만 있는 특혜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필요한 윤활유 같은 것이다. 이러한 시간을 통해 서로를 알게 되고 지도자를 개인적으로 만남으로 공동의 목표를 강화하며 전략을 재고하게 된다. 당신이 이끄는 공동체는 이런 시간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신뢰는 스스로 구해야한다

공동체가 구성원들에게서 신뢰를 기대한다면 먼저 자신이 믿을만하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개인 역시 자신들의 임무수행 능력을 증명할 때까지 완전한 신뢰를 받을 수 없다. 신용의 기초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것, 즉 일관성 있는 행동이다.

■Leadership TIP■ 이니셜로 풀어본 신뢰의 리더십 [Account; 信賴]

Acknowledge the situation. 상황을 인정하라

Courageously face difficulties. 어려움에 용감하게 맞서라

Communicate with positive language. 긍정적인 대화를 하라

Own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문제도 해답도 다 내게 있다

Understand other's viewpoints. 다른 사람들의 시각을 이해하라

Negotiate solutions that work for everyone. 협상으로 윈-윈 전략을 찾아라

Take on new responsibilities. 새로운 책임을 기꺼이 떠맡아라

※ 백석대 대학원 기독교문학 전공지도교수, 계간 생명과문학 발행

김윤환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