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환(시인, 문학박사)
최근 리더십에 대한 강조가 강하게 대두되면서 여러 형태의 리더십 유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한 가지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어떤 유형의 리더십도 그것이 완전한 리더십의 형태는 아니라는 것이다. 즉 어떠한 사람에게는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서번트 리더십이 방종으로 흐르게 만드는 요인일 수도 있다.
리더십 전문가인 켄 블랜차드는 "여러 유형의 사람들을 똑같이 대하는 것처럼 불공평한 것은 없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경우 일관성이란 일률적으로 누구에게나 똑같이 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블랜차드는 "비슷한 상황에서는 같은 리더십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관성있는 리더십"이라고 정의했다. 자신의 리더십 아래에 있는 구성원follower의 업무 수행능력과 의욕의 결합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이러한 리더십의 형태를 상황대응형 리더십이라고 말한다.
상황대응형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상태가 각자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구성원들은 업무의 수행능력과 의욕에 있어서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면서 각각의 적용리더십 또한 각각 다르게 적용된다.
수행능력 낮고 의욕 높은 사람/ 지시형 리더십 적용
수행능력은 낮으나 의욕이 왕성한 유형의 사람에게는 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았거나 이제 막 조직의 일원이 되었을 경우다. 그래서 무슨 일이든 하고 싶어 하지만 실제로 그 일을 맡을만한 능력은 그리 많지 않는 유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구성원들에게는 지시형 리더십이 적합하다. 이들은 자신이 해야 할 업무에 대하여 정확하게 지시하고, 분명한 방향을 설정해주는 감독과 조정이 필요하다. 세심하게 지도하고 분명하게 지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행능력 중간 의욕 낮은 사람/ 지도형 리더십 적용
이런 유형의 사람은 자신이 뭔가에 몰두할 거리를 찾지 못해서 의욕을 상실한 경우이다. 가령 프로젝트팀에서 제외되었다든지, 자신이 생각하는 기대치에 비해 자신이 하는 일이 만족스럽지 못할 유형인 것이다. 이렇듯 어느 정도 수행능력은 있지만 의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지도형 리더십이 적합하다. 이런 사람에게는 자존심을 갖게 하기 위해 원조와 칭찬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험을 보충할 수 있도록 코치와 감독이 필요하다. 세심하게 지도하고 또 필요한 것을 지원해주어야 한다.
수행능력 높고 의욕 일정치 않은 사람/ 지원형 리더십 적용
기업으로 치자면 중간 관리자급에 해당하는 이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업무에 대한 경험으로 그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은 매우 높지만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동기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매너리즘에 빠진 상태의 유형이다. 이들은 수행능력은 있지만 자신감 또는 의욕이 없는 사람에게는 지원형 리더십이 적합하다. 이런 사람은 업무 수행능력이 있기 때문에 지시적으로 나갈 경우에는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대신 새로운 목표를 제시해주고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조가 필요하다. 이들에게는 칭찬하고 들어주고 또 격려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수행능력도 높고 의욕도 높은 사람/ 위임형 리더십 적용
모든 리더가 원하는 매우 모범적인 유형이다.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뿐만 아니라 그 일에 대한 목표를 이뤄낼 줄 아는 능력도 갖춘 경우다. 수행능력과 의욕이 함께 높은 사람에게는 위임형 리더십이 적합하다. 이런 경우에는 일일이 지시하고 감독할 필요가 없다. 스스로 알아서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된다. 또한 이런 경우에 가장 필요한 것은 이 유형의 구성원에 대한 신뢰다. 이런 사람은 인정하고, 위임하고, 그리고 기다려 주라.
획일화만큼 비효과적인 리더십도 없다. 이와 같이 자신의 리더십 아래 있는 구성원들의 상황이 각각 다르다는 사실을 인식하면, 그에 따라서 리더십의 스타일도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 분명한 사실은 위임형 리더십으로 갈수록 팀 안에 유기적 관계와 업무의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위임형 리더십이 좋다하여 모든 상황에서 위임형으로 대한다면, 그것은 리더와 팔로워 모두에게 옳지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반대로 리더 스스로 지시형 리더십 스타일에 익숙하다고 해서 모든 유형의 구성원들에게 지시적으로 대한다면, 그 팀의 팀웤은 분명 분열되고 말 것이다. 따라서 상황대응형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속 구성원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그에 적합한 리더십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소속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어떤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는 상황대응형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획일화만큼 비효과적인 리더십도 없다.
■Leadership TIP■ 미국 대통령 리더십의 열 가지 원리
1. 타이밍이 전부다.
2. 당신의 영광을 남과 나눈다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
3. 신뢰란 일단 무너지면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다.
4. 리더십이란 관계를 만들어가는 기술이다.
5. 리더는 자신의 실수로부터 배운다.
6. 자신감을 다른 사람에게까지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
7. 효과적 협력관계를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헌신이 필요하다.
8. 리더는 자신을 알아야 하고 힘을 얻을 수 있는 원천을 찾아야 한다.
9. 리더는 재능 있는 사람을 찾아내야 한다.
10. 언어는 리더의 가장 강력한 도구다.
- 도리스 K 긋윈/미국 사회학자
※ 백석대 대학원 기독교문학 전공지도교수, 계간 생명과문학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