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임명을 철회했다. 지명 발표 이후 22일 만의 결정이다. 처음부터 교육계의 반발이 거셌다. 교사노조, 전교조, 실천교육교사모임 등이 잇따라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교육계 개인들의 1000인 반대 기자회견도 있었다. 범학계국민검증단의 논문 표절 점검에서, 이 후보자 논문 150편 중 16편에서 연구윤리 위반 소지가 크고 표절률이 최대 56%에 달한다고 발표되었다.
16일 인사청문회에서는 교육 일반에 대한 이해 및 전문성 부족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법정 수업일수, 나이스(NEIS) 시스템, 유보통합 주체 등 기본적인 교육 현안을 질문묻자 "정확히 모르겠다"만 반복했다.
여당 내부에서도 반발이 나와, 19일 강득구 의원이 여당 의원으로는 처음 공개적으로 사퇴를 촉구했다. "윤석열 정권의 인사 독주를 비판해온 민주당이 스스로 국민 앞에 어떤 태도를 취할지 기로에 서 있다"며 "우리는 윤석열 정권과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일에는 최교진 세종교육감이 교육감 중 최초로 사퇴를 요구하며 "후보자의 자질과 철학이 교육부 장관 자격과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무조건 후보자를 옹호하는 여당 의원들의 행태에 대해서도 국민적인 비판이 크게 일었다. 특히 서이초 사태 이후 교사 대표의 자격으로 민주당 의원으로 등업된 백승아 의원에 대한 교육계의 비판 수위는 매우 높았다. 워치독이 아니라 경비견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며 고심한 결과"라는 이 대통령의 결단은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 현명한 처사라고 판단되지만, 후보자 추천과정의 문제점과 이후 여론 수렴 절차에 대한 점검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재명 정부는 진정한 교육 전문가를 새 교육부장관으로 지명해야 한다.(전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