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다례
2025년 '제32회 간장포럼 2025 한민족 통일장담그기' 행사가 3월 22일(토)부터 23일(일) 이틀간 경남 거창군 위천면 수승대발효마을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간장포럼과 거창담다가 공동 주최하고, (사)국제슬로푸드 한국협회, 내일의 식탁,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임원경제연구소, 한국콩연구소가 후원했다.
'한민족 통일장담그기' 행사는 전통 장醬문화를 통해 한민족의 화합과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아 진행되었다. 1일 차에는 권미리 원장의 헌다례와 전종호 시인의 시 낭독 등 장담그기 개회 의식儀式에 이어 또랑광대 정대호, 이일규의 '백두장 아리랑' 공연이 펼쳐졌다. 행사는 김홍렬 교수의 ‘한민족 디아스포라와 장문화’라는 제목의 특강과 김현동 대표(연해주 동북아평화연대)의 '장아리랑 토크'로 이어졌다. 2일 차에는 한민족 통일장터가 열린 가운데, 장광팔의 장 만담과 거리의 악사 정동명의 공연, 정회창 작가의 소원 솟대 체험과 한민족 통일 비빔밥 퍼포먼스, 예술공동체 풍경의 ‘장독풀이’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예술공동체 풍경의 장독풀이
이번 행사는 전통 醬문화를 계승·발전시키는 동시에 한민족의 정체성을 공유하고 통일의 중요성을 되새기는자는 자리였다. 현재 한국의 장담그기 문화는 2024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간장 포럼 우태영(옹기뜸골/수승대발효 마을 운영자) 대표는 "전통 醬문화를 통해 가족의 정체성을 반영하며 가족 구성원 간의 연대를 촉진 할 뿐 아니라 한민족의 공동체 의식을 되살리고, 통일에 대한 희망을 함께 나누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렬 교수의 말처럼, 연해주에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한 주민들이 가혹한 이주 조건 속에서도 장 담그는 틀을 가지고 갔던 것처럼, 장醬은 단순히 음식의 한 재료만이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준비해서 장을 만들고 관리 이용하는 과정에서 전하는 한민족의 지식과 신념과 태도 등을 아우르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장을 매개로 한민족이 하나 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번 한민족통일 담그기는 남북과, 나아가 해외에 거주하는 전체 한민족의 화합을 도모하는 의미가 큰 행사라고 할 수 있다.(전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