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일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열렸다. 그간의 여야 대립 상황과 공방 탓에 파행이나 난항을 예상했지만 비교적 침착하고 무난하게 진행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 후보는 먼저 “공교육 회복을 위해 선생님을 지키고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기초학력 지원과 유초등 돌봄 확대를 약속하고 AI·디지털 문해력 강화, 인문·시민교육 확대로 균형 있는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야당은 즉각 공세에 나섰다. 과거의 발언과 행적에 대한 비판을 시작했다. 김대식 의원은 ‘여전히 부끄러운 부산’이라는 과거의 글 공유를 문제 삼았고, 김용태 의원은 천안함 관련 과거 글 게시를 추궁했다. 서지영 의원은 전과·음주 전력을 거론하며 “교육적이지 않다”고 비판했다. 최 후보는 “2003년 음주운전은 평생 가장 후회하는 일이다. 이후 반성의 뜻으로 운전을 하지 않았다”라고 답했다. 방북 기록과 학위 자료 제출을 둘러싼 공방도 거세졌다. 서지영 의원은 통일부 승인 횟수와 진술 간 차이를 지적하며 “오전 중 일체 제출”을 요구했다.

한편, 여당은 정책 역량에 중점을 두고 질문을 이어갔다. 박성준 의원의 “의대 정원·유보통합·AI 교과서 등은 추진 과정의 설득 부족이 문제였다”는 지적에 최 후보는 “숙의와 합의를 거쳐 바로잡아 제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백승아 의원은 역사·독도교육 강화와, 진선미 의원은 조기 영어 사교육 과열과 ‘7세 고시’를 지적했다. 최 후보는 “독도교육은 세종시교육청의 독도교육 경험을 참고하고, 유아 조기 영어는 지양하고 놀이·체험 중심으로 가야 한다”라고 동의했다. 위기학생 지원 체계를 통해 학생 정서·마음 건강 관리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정은호 의원은 의대·로스쿨 쏠림 완화와 이공계·인문예술 육성을 요구했다. 최 후보는 “장학·선발 구조 개선과 지역 맞춤 인재 양성, AI 전문 인력 양성을 병행하겠다”라고 답했다. 강경수 의원은 교육부 위상과 국교위 관계를 물었다. 최 후보는 “국가교육위원회와 긴밀히 협력해 2030 대입안 등 현안을 사회적 합의로 풀겠다. 장기 계획과 현안 모두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겠다”라고 말했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과 관련한 지역균형 발전 해법에 대해서 최 후보는 “지방대에 서울대 수준의 전략적 투자로 수도권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고 교육–일자리–정주 선순환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교육을 지역 혁신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청문회는 최후보에 대한 야당의 공방이 날카로웠지만, 최 후보가 사과와 원칙, 숙의 중심의 추진 철학을 일관되게 제시하면서 이론가나 관료로서의 풍모가 아니라, 현장형 지도자로서의 경험과 안정감이 돋보였다는 평가이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3일 이내 경과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미채택 시 대통령은 10일 이내 범위에서 송부 요청 후 임명할 수 있다.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상임위원회는 인사청문회를 마친 날부터 3일 이내에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국회의장에게 제출해야 한다. 이번 청문회가 9월 2일에 열렸으므로, 보고서 제출 법정기한은 9월 5일까지다.(전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