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교육신문
승인
2023.05.27 09:23
의견
0
어쩌다 마을 6
- 다시 퍼머컬처
'퍼머컬처'라는 말은 빌 모리슨과 데이비드 홈 그렌이 1978년 처음 개념화한 것으로서 permanent culture와 permanent agriculture를 혼합해서 쓴 말이다. 핵심은 지속 가능한 생산과 생활을 지탱하는 기반과 환경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체계를 말한다. 아직 널리 일반화된 사상이 아니라서 좀 부연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 큰 원리: 자연을 닮게 하라
1. 다양성을 높여라
- 간작, 혼작을 높여라.
- 재선충 피해, 산불피해도 단일품종만 심기 때문이다
- 작목이 다양하면 병충해도 줄일 수 있다.
- 자급률도 높이고 작업강도도 분산이 가능하다.
- 동물 사육 역시 복합영농, 순환농업이 가능하다(과수원에서의 양계 등)
2. 가장자리를 이용하라
- 점진적인 변화,
-그라디에이션 gradation.
- 가장자리는 자연이 주는 혜택인데 현대문명은 이것을 막아서 구별한다.
- 가장자리는 다른 분야로의 확장이나 전환을 쉽게 해 준다.
3. 자연적 힘을 활용하라
-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자연을 닮게 하라
두 번째 큰 원리 : 상업적 에너지를 줄여라
4. 에너지를 계획하라
-에너지를 줄이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지구(zone)와 구역(sector) 개념을 공간에 계획한다
5. 생물자원을 이용하라
- 집에서 풀어서 닭 키우기
6. 상대적 위치를 고려하라
- 모든 디자인의 핵심은 관계를 잘 설정하는 것이다.
- 닭장을 짓는다면, 닭장뿐만 아니라 주변의 숲, 연못과의 관계를 디자인하여 주변의 모이, 연못의 물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 큰 원리 : 적절한 규모를 만들어라
7. 작지만 집약시켜라
- 위아래 공간을 겹쳐서 이용하라 stacking
- 오리, 우렁이농법
- 닭장 밑에 퇴비장
8. 다기능을 갖추라
- 공유
- 내 것을 내주면 남의 것도 내 것이 된다
9. 중요한 기능은 중복하라
- 생산-가공-유통 - 다중 연결
- 다양한 활동과 모임 참여: 사회적 관계의 중복
<퍼머컬처>를 저술한 빌 모리슨이 홍성 풀무학교와 홍동면을 방문한 후에 한국에서는 이미 퍼머컬처가 오래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고 한다. 퍼머컬처는 우리의 전통적 농사 개념과 상당히 유사한 면이 있다.
집 앞에 텃밭을 조성한 조상들의 지혜를 우리는 너무나 무시하고 살았다.
전국에서 시행되는 퍼머컬처 공부도 여러 갈래가 있는 것 같다.
이 글을 읽고 내용이 답답한 분들은 임경수의 <이제, 시골>을 읽어 보시라.

저작권자 ⓒ 중앙교육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